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블록체인

[이더리움] Private Block Chain vs Public Block Chain

by 일등박사 2022. 8. 13.

게임 좋아하시나요??

저는 예~전에 디아블로2를 재미있게했었습니다!!

 

디아블로2에는  "싱글 플레이"와 "멀티 플레이(베틀넷)"가 있었는데요!

싱글플레이는 내 컴퓨터의 환경에서 나혼자 게임을 하는것이었고,

멀티플레이는 서버의 인터넷 환경에서  여러 플레이어와 게임을 하는것 이었습니다.

 

추억의 디아블로2

싱글플레이에서 아무리 좋은 아이템이 있고 돈이 많아도,

그것은 내 PC에서 자유롭게 생성이 가능하기에 인정받을수 없고

멀티플레이(베틀넷)에서의 자산만이 인정되었었죠!!!

 


오늘의 본론인 이더리움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더리움도 디아블로와 마찬가지로 싱글플레이와 멀티플레이로 나누어집니다!!

 

내가 마음대로 데이터를 가공할수 있는 싱글플레이 (private Block Chain)과

1개의 ETH가 200만원을 넘나드는, 모두가 인정해주는

이더리움의 멀티플레이 (Public Block Chain)이 존재합니다!!

 

우선 이더리움의 멀티플레이 (Public Block Chain)은

모두가 알고있는 그 이더리움이 맞습니다!!

 

블록의 생성, 지갑정보 등의 정보가 모두에게 공개되어있고

( https://etherscan.io/ )

분산원장으로 세계의 다양한 노드들에 데이터가 분산되어 아무도 마음대로 가공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에 노드별로 주장이 다를때 서로 갈라서게되고(hard fork) 이에 이더리움 클래식이 생기기도했죠!!

smart contract를 배포하거나 거래할때는 항상 Gas 비용(수수료)가 들겠지요?

접속 방법으로는 직접 이더리움 노드들에게 접속하는것입니다!!

https://ethernodes.org/nodes

 

 

한편  싱글플레이 (private Block Chain)은 이와 다른데요!!

 

각자의 pc에서 나만의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만들어 내가 100만개의 이더리움을 소유해볼수도 있고

나혼자 채굴을 할수도 있고 다양한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smart contract를 배포하거나 거래할때는 항상 Gas 비용(수수료)가 들겠지만,

이 private block chain 세계관에서는 내가 최고이기에 마음껏 gas fee를 지불할 수 있고

일부만 공유할수 있는 데이터를 보관하여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접속방법으로는 내가 직접 geth를 활용하여 Private Ethereum Network를 구축하거나

가나슈를 사용하여 컴퓨터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Private Ethereum Network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후 가나슈 및 geth 사용법에 대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디!!^^

 

 

private vs Public Block Chain

 

댓글